제주대학교 Repository

Partial replacement of dietary fish meal by soybean meal for juvenile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양어사료에서 주 단백질원으로 사용되는 어분의 가격상승으로 인하여 어분대체 단백질원의 개발은 양식산업의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어분 대체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식물성 단백질원인 대두박은 높은 단백질 함량과 비교적 우수한 아미노산 조성으로 양어사료에서 어분을 대체할 수 있는 단백질원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졌다. 그러나 대두박은 어분과 비교하여 제한 아미노산인 lysine과 methionine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phytic acid같은 항영양인자를 포함하고 있어 양어사료에서의 이용이 제한적이다.
이 연구는 최근 새로운 양식 어종으로 각광받는 자주복을 대상으로 사료 내 대두박의 어분대체 가능성 및 그 이용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초기 무게가 20.1g 0.1g인 자주복 치어를 이용하여 15주 동안 급이실험을 하여 성장과 먹이효율 및 일간 성장률, 그리고 단백질 전환효율을 바탕으로 검토한 결과 어분의 30%를 대두박으로 대체할 수 있었다. 대두박의 함량이 많이 첨가된 SBM 45와 60의 실험구에서 성장 결과가 낮게 나타난 이유는 대두박에 함유된 항영양인자의 영향과 phytate의 영향으로 보여진다.
혈장 내 인의 함량은 성장 결과와 유사하게 사료 내 대두박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두박 함량이 많은 사료 내 인의 함량이 자주복 치어에 있어서 최적의 성장을 위해 사용되지 못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자주복의 장 내 phytase의 부족현상 때문이라 판단된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자주복 사료에 대두박을 어분의 30%까지 대체하였을 때, 어류의 건강 상태에 지장 없이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성 단백질원인 대두박을 사료 내 첨가하였을 때, 어류에서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축적이 낮아진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능성 어류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uthor(s)
고경용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682
Alternative Author(s)
Ko, Gyung Yo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해양생명과학과
Advisor
이경준
Table Of Contents
REFERENCE REVIEW = 1
ABSTACT = 3
MATERIALS AND METHODS = 4
Experimental diets = 4
Feeding trial and sample collection = 4
Analyses = 6
Statistical analysis = 6
RESUTLTS = 8
DISCUSSION = 12
SUMMARY = 15
REFERENCES = 16
ACKNOWLEDGEMENT = 1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고경용. (2009). Partial replacement of dietary fish meal by soybean meal for juvenile Tiger puffer Takifugu rubripes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Marine Life Sciences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