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몽고반점의 미의식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Mongolian Spot
Abstract
이 연구는 한강의 「몽고반점」을 텍스트로 하여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상징적 예술가로 형상화된 주인물의 미의식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작중인물의 욕망의 흐름을 고찰하여 절대미가 어떻게 추구되고 어떤 한계에 부딪히는지를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이론'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몽고반점」의 주인물의 절대미 추구과정과 한계를 욕망이론을 통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았다.
1. 주인물은 비디오 아트 작업을 통해서, 환멸을 느끼는 자신의 기존 작품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욕망의 탈주, 탈영토화(탈코드화)를 갈망한다.
2. 주인물은 절대미 추구과정에서 처제에 대한 성적욕망이 작품창작 욕망과 엉키며 갈등한다. 비디오 아트 작품인 을 완성하고 난 후, 처제와 실제 성적교합을 통해 를 완성함으로써 절대미의 창조를 위한 욕망의 탈주를 단행한다.
3. 주인물은 후기 자본주의 욕망 구조의 특성에 따라 '그'의 절대미 추구 욕망은 한계에 부딪힌다. 작품창조 과정에서 주인물은 욕망의 생산성에 의해 변이된 자신의 다양한 주체들 가운데 예술가로서의 주체에만 몰입함으로써, 윤리와 사회적 관습 등 공리계의 질서를 파괴시키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 결과 주인물은 아내에 의해 정신병원으로 보내지면서 절대미의 완성이 좌절된다.
4. 절대미는 현실의 윤리와 관습, 사회제도 등을 초월할 수 없다는 조건의 지배를 받고 있지만, 주인물은 그에 굴하지 않고 절대미 창조를 위한 욕망의 탈주를 꿈꾸며, 욕망이 부단히 생산적이고 창조적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철학성이 빈곤한 한국 현대소설계에 철학적 욕망이론을 소설 작품의 주제와 연결시켜 형상화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아진다. 그리고 절대미 추구과정과 한계를 '욕망이론'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작가가 형상화한 예술가의 미의식과 주체 개념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했다고 본다.
Author(s)
강연옥
Issued Date
2007
Awarded Date
200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989
Alternative Author(s)
Kang, YounOc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안성수
Table Of Contents
i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1
2. 연구방법 3

Ⅱ. 욕망의 논리와 배경 5
1. 들뢰즈와 가타리의 욕망론 5
2.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관들 없는 신체' 10

Ⅲ. 「몽고반점」의 구조와 지향 18
1. 플롯 구조와 기능 18
2. 기법과 상징 28
3. 작중인물과 갈등 42
4. 시간과 공간 52

Ⅳ. 절대미의 추구와 그 한계 57
1. 주체의 변이 58
2. '기관들 없는 신체'와 절대미 추구 59
3. 욕망의 이중적 구조와 한계 61

Ⅴ. 결 론 64

66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강연옥. (2007). 몽고반점의 미의식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