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화용적 의미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Pragmatic Meaning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 Focusing on Body Language, Speech Act, and Politeness
Abstract
외국어 학습에서 궁극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는 것이다. 의사소통능력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면서 글자그대로 고정된 의미전달 능력을 벗어나, 대화참여자의 심리상태, 상황적 맥락을 고려한 포괄적 언어의미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는 단순한 규칙과 단어의 조합의 학습 뿐 만 아니라 대화 참여자간의 관계 및 대화가 발생하는 상황ㆍ맥락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의 단절을 피하기 위한 전략적 능력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언어가 실제로 사용되는 사회와 문화를 포함하는 '상황기반 의사소통(context-based communication)'과 신체언어와 같은 언어 이외의 전달도구인 '비언어적 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은 의사소통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의사소통능력을 강조하는 최근의 영어교육환경에서 언어적 환경뿐 만 아니라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가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언어적 맥락에서 파생되는 내용을 '화용적 의미요소'로 정의하고, EFL 영어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중요한 입력 자료인 교과서를 분석하여 이 요소가 어떻게 지도되고 있는지 간접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화용적 의미요소를 비언어적 요소인 신체언어, 간접화행, 공손표현의 세 측면에서 2010년 개정된 중학교 2학년 교과서 4종을 분석하여 이 요소들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신체언어는 언어적 요소의 보완적 성격을 지닌 특징에 따라, 교과서에서 제시된 언어적 의사소통 표현에서 신체언어가 함께 지도될 수 있는 부분을 추출하여 구체적으로 어떤 신체언어가 지도될 수 있는지 제시하고, 어떠한 신체언어를 담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교과서에 따라 신체언어에 대한 내용을 전혀 담고 있지 않는 교과서도 있었고, 교과서 곳곳에서 제스처나 표정의 간단한 의미가 그림과 함께 제시된 부분도 있었다. 또한 본문 내용에서 문화마다 서로 다른 제스처를 소개하며 읽기 자료로 제시된 교과서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자세한 문화적 배경 설명 및 상황 제시 없이 비언어적 요소 몇 개를 제시한 것에 그치고 있어 현장에서 교과들이 실제로 지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파악된다.
화행의 교과서 분석은 Leech(1981)의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의 관계를 그 기준으로 삼고, 형태상 서술문, 의문문, 명령문을 의미상 단언ㆍ진술, 질문, 지시ㆍ요청의 세 가지의 발화 수반력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빈도수를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대화는 자신이 의도하는 바를 명시적으로 문장에 나타내는 직접화행이 거의 90% 가까이 차지하여 간접화행이 극히 드물게 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손법은 김현섭(1999)이 제시한 공손표현을 나타내는 일곱 가지 언어적 장치-조동사 사용, 과거시제사용, 진행형 사용, 화자의 비인칭화, 울타리어의 사용, 화자의 주관적 감정표현, 상대방에 대한 동의요청-을 기준으로 각각의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에서 나타난 공손법의 언어적 장치가 매우 제한적으로 몇 가지 표현들이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다양한 공손표현의 결여와 교과서에서 미묘한 의미의 차이나 상황에 따른 적절한 선택에 대한 언급이 없이 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해 대부분의 교사가 화용적 능력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있고 의사능력에 있어 그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적극적으로 지도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교과서 개발과 지도방안의 두 가지 측면에서 시사점 및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서 개발 측면에서, 신체언어는 교과서에서 문화적 배경과 구체적 상황이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실제적인(authentic) 상황제시가 부족하였다. 신체언어는 언어기능과 따로 시간을 할애하여 잠깐 언급하는 정도로 가르치는 것보다 언어기능과 함께 따라오는 요소로 자연스럽게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교과서 전반적으로 언어기능이 제시되는 부분에서 비언어적 요소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 화용과 공손법표현에 있어서는 기존 교과서에서는 대화참여자 간에 관계와 상황적 맥락이 매우 제한적으로 나와 있어, 좀 더 다양한 상황과 대화자의 관계를 설정하여 학습자가 보다 다양한 화행과 공손법에 대한 노출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효과적인 지도방안 측면에서는 교실에서 지도할 수 있는 활동을 구체적으로 몇 가지 제시해 하였다.
요약하면, 의사소통능력에 필수적 요소인 화용적 의미요소를 중학생에게 지도하기 위하여 교과서에서는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상황과 그에 맞는 표현이 제공되어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입력(input)에 노출되어 접하고 익힐 기회가 주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는 교실 현장에서 학습자의 화용적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좀 더 적극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learning is to build up communicative competence. As the concep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has changed over time, it is emphasized to have the competence of appropriate language use in context beyond the literal meaning conveyance. To promote this competence, it is essential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situational context in which conversation occurs and foster strategies to avoid communication breakdowns. For this reason, 'context-based communication' which concludes culture where language is actually used,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refers to all communication without using language have a considerable impact on communicative process. These are crucial featur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language teaching and defined as 'pragmatic meanings' in this stud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se pragmatic meanings are being reflected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y analyzing them, one of the most important input materials to students. It analyzes pragmatic meanings in the English textbooks in terms of body language, indirect speech act, and politeness.

First, it extracts body language elements that can be taught with language functions presented in the English textbooks and examines the parts that the textbooks specifically show about use of body language. Body language in the textbooks is generally limited to simple insertions of several pictures without details on cultural background or situational context where they are used.
For speech act, it utilizes Leech's theory on the relationship of direct and indirect speech as an analytic framework and analyzes frequency of illocutionary force based on the syntactic forms and pragmatic meanings. As a result, it reveals that direct speech act accounts for nearly ninety percentage in the textbooks.
Lastly, it takes seven linguistic devices for politeness as an analytic frame and analyzes frequency of each device used in the textbooks. The result shows that the linguistic devices for politeness are limitedly used and only several ones are repeatedly presented.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of English teachers shows that most of them agree on the importance of pragmatic meanings and their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their teaching is not carried out well.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mentioned above, some suggestions are made in the aspects of textbook development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First, it is suggested that nonverbal features should be integrated with verbal communication and reinforced throughout the textbooks with appropriate context and background for future textbook development. Moreover, various interlocutor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should be introduced for learners to be exposed to various speech act and degrees of politeness. Second, specific activities that can be used in class are suggested in terms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short, in order to teach pragmatic meanings which are essential to communicative competence, more specific context and appropriate expressions should be provided in the textbooks for learners to experience various input materials. Also, teachers need to actively teach pragmatic meanings by using effective teaching methods.
Author(s)
정들다
Issued Date
2010
Awarded Date
2010.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089
Alternative Author(s)
Jeong, Deul d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Advisor
양창용
Table Of Contents
목 차

국문초록
표목차
그림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의사소통 능력 ‥‥‥‥‥‥‥‥‥4
2. 화용적 의미 ‥‥‥‥‥‥‥8
3. 신체언어 ‥‥‥‥‥‥‥‥‥9
3.1 제스처 ‥‥‥‥‥10
3.2 얼굴표정 ‥ ‥‥11
3.3 시선접촉 ‥‥‥ ‥13
4. 화행 ‥‥‥13
5. 공손법 ‥‥‥‥‥‥‥19
5.1 공손표현의 언어적 구현장치 23
Ⅲ 연구의 실제 28
1. 교과서 분석 ‥‥28
1.1 신체언어 ‥‥28
1.2 직접화행과 간접화행분석 ‥‥‥36
1.3 공손표현의 언어구조적 특성분석 ‥‥42
2. 교사인식 및 지도현황 ‥‥‥45
Ⅳ 시사점 및 제안 ‥‥‥‥‥‥‥‥‥‥‥‥‥‥48
1. 교과서 개발 측면 ‥‥‥‥‥‥‥‥‥‥‥48
2. 효과적인 지도방안 측면 50
2.1 신체언어지도 ‥‥‥‥‥52
2.2 간접화행과 공손법지도 ‥‥‥‥‥57
Ⅴ 결론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1
< 부록 >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정들다. (2010).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화용적 의미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nglish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