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ffects of Career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of Students out of School and Self-efficacy of Care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how career counselling program enhance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for career for students outside school. For this purpose, following issues are assigned.
Issue 1 : Is career counselling program effective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juveniles out of school?
Issue 2 : Is career counselling program effective for improving self-efficacy sense for career in juveniles out of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issues, assignment of research objects, pre-investigation, composing counselling group and comparison group, applying career counselling program, inspection after program and data analysis are carried out respectively.
For targeted group, 14 students out of school in their age of 16 to 21 who are willing to attend career counselling program from juvenile protection center, juvenile's resting place and juvenile counselling supporting center located Jeju city are assigned, and among them, experimental group of 7 juveniles and control group of 7 juveniles are randomly chosen.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developed by Lee Gi Hak (1997) and career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 developed by Park Myeong Sim and Kim Sung Hee (2006) are used for testing hypotheses. Sub factors for career attitude maturity consists of a total of 47 questions including decision, preparation, independence and confidence, and sub factors for career self-efficacy consists of a total of 32 questions including self-efficacy for finding career path, self-efficacy for determining career and self-efficacy for performing career. Career counselling program was corrected, supplemented and restructured with help of supervised professor based on 1st phase education program from Dudearim zone program for juveniles under risks developed by Korea Youth Counselling Center. And researcher carried out a total of 10 times, 2 times per week for each 90 minutes. SPSS WIN 10.0 is used for data analysis. In order to verify hypothesis assigned by this paper, the program is applied to counselling group, and after-inspection is performed for counselling group and comparison group, and its effectiveness is verified by t-test.

As the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Career maturity of counselling group which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is meaningfully improved compared with comparison group which didn't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Second, decision and confidence among sub factors for career maturity in counselling group which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are meaningfully improved compared with comparison group which didn't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sense of purpose,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don't have meaningful difference. Third, career self efficacy sense in counseling group which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is meaningfully improved compared with comparison group which didn't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Fourth, sub factors of career self-efficacy. i.e career path finding efficacy, efficacy for determining career and efficacy for performing career in counseling group which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are meaningfully improved compared with comparison group which didn't attended career counselling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reer counseling program is believed to recognize juvenile's suitable career and to let them perform their careers and prepare their own career paths even apart from regular education, and have them confidences for future career, thus to help improve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areer self-efficacy while they understand themselves and various job world, job informations, experiences of selecting jobs and detailed employment techniques.
본 연구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문제 1 :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문제 2 :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 선정, 사전검사,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의 구성,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적용, 사후검사, 자료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시에 소재한 보호관찰소와 청소년 쉼터, 청소년상담지원센터의 학교밖 청소년 가운데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가 있는 16세~21세 이내의 학교밖 청소년 14명을 선정하여 상담집단 7명, 비교집단 7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기학(1997)이 개발한 진로태도 성숙도 검사(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와 박명심과 김성회(2006)가 개발한 고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진로태도 성숙도 검사의 하위요인은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으로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로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요인은 진로탐색자기효능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수행자기효능감으로 총3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로상담 프로그램은 한국청소년상담원(2007)이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발한 위기청소년의 자립준비를 위한 두드림존 프로그램 중 1단계 교육프로그램을 기초로 본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알맞게 수정 보완하고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재구성하였다.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실시는 본 연구자가 매주 2회, 90분씩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분석 방법으로 SPSS WIN 10.0을 활용하여 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담집단에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 상담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t-검증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진로성숙도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진로성숙도 각 하위 영역 가운데 결정성과 확신성은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목적성, 준비성, 독립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진로자기효능감은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담집단의 진로자기효능감 각 하위 영역 즉,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수행효능감은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밖 청소년들에게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다양한 직업 세계 이해, 직업정보, 직업 선택 경험, 구체적인 구직 기술 등을 익히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 알맞은 진로를 인식하고 이에 따라 계획을 세워 봄으로서 정규교육 과정 밖에서도 적절하게 자신의 진로를 준비해 나가도록 하고 자신의 진로 선택에 대한 믿음과 확신을 갖도록 하는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Author(s)
장정임
Issued Date
2009
Awarded Date
200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840
Alternative Author(s)
Jang, Jung 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허철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학교밖 청소년의 개념과 발생원인 5
2. 진로성숙도의 개념과 수준 10
3. 진로자기효능감의 개념과 행동특징 13
4. 진로상담 프로그램 16
5. 진로상담 프로그램과 진로성숙도, 진로자기효능감과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3
1. 연구대상 23
2. 연구설계 23
3. 연구도구 24
4. 연구절차 28
5. 자료처리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집단간 동질성 검증 29
2. 진로성숙도 31
3. 진로자기효능감 40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47
1. 요약 47
2. 결론 48
3. 제언 50

참고문헌 51
Abstract 57
부 록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정임. (2009).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밖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