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과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High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일상생활을 함에 있어서 대표적인 적응 지표로서 기능하는 정서지능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심리적 안녕감이 고등학생들의 내외통제성에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정서지능, 내외통제성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정서지능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내외통제성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 넷째, 심리적 안녕감은 정서지능, 내외통제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다섯째,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이 정서지능 하위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이다.
본 연구는 제주시 소재 2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총 402명(남학생 210명, 여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Ryff 등(Ryff, Lee, & Na, 1993, Ryff & Keyes, 1995 재인용)이 김명소가 번안한 척도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정서지능의 측정을 위해 문용린(1996)이 정서 지능의 초기모형에 입각하여 제작한 정서지능검사를 일부 수정ㆍ보완하여 총 47문항을 사용하였고, 내외통제성 척도는 Rotter(1966)의 내외통제소재를 사용하였다. 내외통제소재 척도는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자가 배부한 설문지 402부를 가지고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정서지능, 내외통제성과의 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정서지능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심리적 안녕감, 내외통제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과 정서지능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아수용, 개인적 성장, 자율성 순으로 긍정적 대인관계가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과 내외통제성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개인적 성장, 환경에 대한 지배력,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삶의 목적 순으로 개인적 성장이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β=.587)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이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적(β=.430)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 정서조절이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정서지능도 높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내적 통제성도 높다.
넷째, 정서지능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의 설명력은 34.4%으로 심리적 안녕감은 정서지능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내외통제성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의 설명력은 18.5%로 심리적 안녕감은 내외통제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섯째, 심리적 안녕감은 정서조절을 16.9%, 정서인식을 11.0%, 감정이입을 6.9%, 정서표현을 15.0%, 정서활용을 6.%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 내외통제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분석함으로써,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차별화된 정서교육의 개입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고 정서지능과 내외통제성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녕감은 정서지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교과중심의 인지적인 측면보다는 정의적인 측면의 상담교육 및 활동을 통하여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능력과 인간관계에서 현명하게 대처하고 행동하는 능력인 사회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을 이해하고 내외통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상담교육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삶은 자신의 선택의 결과를 배우게 하는 생활지도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relevance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school students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functions as a representative adjustment index in their daily life, as well as their interior and exterior control.
Specific research problems connected to this issue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of high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to gender? Second, what relevance is there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what relevance is there betwee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interior-exterior control? Fourth, what influence does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Fifth, what influence does the secondary factor to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on the secondary factor to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targets as research subjects 402 ( 210 males, 192 females) students who are freshman at two different academic high schools of Jeju City. First,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by student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developed by Ryff (1989) and adapted by Kim, Myung So was partially modified and used.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produced by Moon, Yong Lin (1996) in accordance to the early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was parti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include a total of 47 questions was used. For the interior-exterior control scale, Rotter's (1966) interior-exterior control material was used. The interior exterior material scale is comprised of 40 questions.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40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distributed by the researcher,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for variance analysis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on a gender oriented variance analysis (ANOVA)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female students were shown to have a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rea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es a correlation to, by order of importance, positive relationship, purpose in life, self acceptance, personal growth and autonomy; positive relationship showing the greatest correlation.
Thir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indicates a correlation to, by order of importance, personal growth, control over circumstances, positive relationship, autonomy, and purpose in life; personal growth showing the greatest correlation.
Fourth,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iscover the e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has on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it had a positive (β=.587) effect.
Fifth,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iscover the e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has on interior-exterior control.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it had a positive (β=.430) effect.
Sixth,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secondary factor to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secondary factor to emotional intelligence indicates that emotional control is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female students have a higher level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n male students have.
Second, those with greater feel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show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ose with greater feel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higher interior-exterior control.
Fourth, the explanatory pow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emotional intelligence amounts to 34.4%, showing a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emotional intelligence.
Fifth, the explanatory pow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for interior -exterior control amounts to 18.5%, showing a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n interior exterior control.
Sixth, psychological well-being explains 16.9% for emotional control, 11.0% for emotional awareness, 6.9% for empathy, 15.0%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6.0% for emotional utilization.

By discovering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is an important effect factor towards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ior-exterior control, this research was able to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intervention measures towards a differentiated emotional education, which purpose is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students. Some proposal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and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ior exterior control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recognize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 also need to strengthen the ability of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other people through the affective rather than the subject-centered cognitive aspect of counseling education and activities. There is also a need to strengthen their social skills that gives them the ability to deal with and act wisely in human relationship.
Second, I propose that students are in need of guidance that educates them to the fact that their lives are shaped by their personal choice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counseling education and programs that can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influencing interior-exterior control.
Author(s)
이경미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450
Alternative Author(s)
Lee, Kyung M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가설 3
3.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심리적 안녕감 5
2. 정서지능 9
3. 내외통제성 15
4. 심리적 안녕감, 정서지능,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1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2
1. 연구대상 22
2. 연구절차 22
3. 연구도구 22
4. 자료분석 27

Ⅵ.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각 척도별 변량분석 29
2. 심리적 안녕감이 내외통제성, 정서지능과의 관계 30
3.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36
4.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37
5. 심리적 안녕감 하위요인이 정서지능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 40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44
1. 요약 및 논의 44
2. 결 론 48
3. 제 언 49

참고문헌 51

Abstract 56

부 록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경미. (2011).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이 정서지능과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