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Path Model of Help Seeking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을 탐색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애착과 학교생활적응관계에서 변인들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도움추구행동은 어떠한 경로모형으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애착,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청소년의 애착, 도움추구의도,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애착, 지각된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탐색을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이는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으로 구성된 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영향은 물론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도움추구의도, 지각된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간접영향까지 미친다는 부분매개모형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기·인천광역시, 충청남도, 제주도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이다. 표집방법은 지역별, 성별, 학년별 균등비율에 따라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전체 1,281명에게 배포하였고, 이 중 1,236명의 표본을 얻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들은 애착 검사,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검사, 도움추구의도 검사, 지각된 사회적지지 검사, 학교생활적응 검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에 의해 기초통계를,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합성 여부와 경로모형탐색은 AMOS 8.0을 사용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해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에서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피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를 애착차원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불안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간, 학교생활적응과 전문적 도움추구태도간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전문적 도움추구태도는 불안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피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전문적 도움추구태도는 회피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애착,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도움추구의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피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이를 애착차원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불안애착과 도움추구의도 간, 학교생활적응과 도움추구의도 간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도움추구의도는 불안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회피애착이 도움추구의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도움추구의도는 회피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피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간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하지만 회피애착․불안애착과 지각된 사회적지지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지각된 사회적지지는 회피애착․불안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청소년의 회피애착․불안애착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불안애착은 전문적 도움추구태도와 도움추구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 매개변인들은 다시 학교생활적응에 부분매개경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의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보일 때 단순히 학생들의 부적응 행동 자체로만 봐서는 안 될 것이다. 이는 곧 학생들의 애착특성이 우선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학교생활적응을 도와주기 위한 상담․교육적 개입을 할 때는 전문적 도움추구태도․도움추구의도와 같은 매개변인과 함께 통합적으로 접근한다면 보다 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ath model of help seeking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With these researches, we are to clear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and mediated effect of help seeking behaviors with the path model.
For these objectives, we set the subjects of study as follows;
Subject 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Subject 2.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help-seeking inten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Subject 3.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o solve these subjects, this study sets the model to search the path model of help seeking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is the partial mediate model that the attachment that consists of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affects direct effects to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indirect effects with the mediate of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help-seeking intent,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students of 1st and 2nd grade of normal high school student in the school located in Seoul, Kyunggi and Incheon, Chungnam, and Jeju area. The sampling method is use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the ratio of balance with location, sex and grade. The questionnaire has spread to 1,281 students totally, and we can take 1,236 samples. The measuring tools which are used in this study are scale of attachment, scale of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 of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 scale of network orientation, and scale of school adjustment. The collected data is validated as fundamental statistics treatment using PASW 18.0 and through path analysis using AMOS 8.0 for feasibility of model and path model search.
We can show the result of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 of study as follows;
The first, as a result that we 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shows the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in school adjustment. Seeing these into the layer of attach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show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and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shows the mediate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However, avoidance attachment does not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meaningful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does not have mediate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avoidance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second, as a result in seeing the relationship of help-seeking intent in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i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show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Seeing these into the layer of attachment, there ar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t, and school adjustment and help-seeking intent. However, there i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t, and no mediate correlation between help-seeking intent and avoidance attachment.
The third, as a result in seeing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d i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show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and there is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djustment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However, there is no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has no mediate correlation between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As a conclusion in these results,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affect direct to the school adjustment. Also anxiety attachment directly affects to the attitude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and help-seeking intent, and this may affect indirect to the school adjustment again. Therefore, the student who has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will not be seen as maladjustment itself when they are trouble in school life. This also requires the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anxiety attachment of them. Also, when someone is intervened as a form of counseling and education to help adapting of their school life, it will have more effect if you are approaching synthetically with the mediate variables such as attitude and intent of help-seeking.
Author(s)
손태주
Issued Date
2011
Awarded Date
2012.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761
Alternative Author(s)
Son, Tae-Joo
Affiliation
제주대학교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박태수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8
3. 용어의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2
1. 애착이론 12
1) 애착이론의 발달 12
2) 청소년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16
2. 학교생활적응 18
1)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18
2)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매개변인 20
3. 도움추구행동관련변인들 24
1) 도움추구행동 24
2) 애착,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26
3) 애착, 도움추구의도,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27
4) 애착, 지각된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29
Ⅲ. 연구방법 31
1. 연구대상 31
2. 연구모형과 경쟁모형 설정 32
3. 측정도구 36
4. 연구절차 39
5. 자료분석 40
Ⅳ. 연구결과 43
1. 기초통계 43
1)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 및 상관 43
2) 다변량 분석의 기본가정 검토 46
3) 애착과 도움추구행동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48
2. 연구모형 분석 49
1) 연구모형 평가(최적의 모형검증) 49
2) 연구모형 분석 51
3)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총 효과 검증 53
4)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도움추구의도, 지각된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검증 55
Ⅴ. 논의 57
참고문헌 67
Abstract 91
부록 95
1. 애착 검사 96
2.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검사 98
3. 도움추구의도 검사 100
4. 지각된 사회적지지 검사 101
5. 학교생활적응 검사 102
6. 전체 연구모형의 경로계수 105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손태주. (2011). 청소년의 애착과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도움추구행동의 경로모형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