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경주마 제대로 알기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저자 이토 도모야스는 1959년 호스 뉴스사에 입사한 후, 경마 전문지 『말』편집에 종사하면서 말과 인연을 맺었다. 저자는 본서에서 1985년부터 경매시장에서 2세마를 보고, 1988년부터 20년 넘게 경마 해설을 하면서 다져온 말을 보는 법을 자신의 감각과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본서는 제 1 장 '더러브렛의 체형을 본다' , 제 2 장 '패독에서 출주마를 본다' , 제 3 장 '예시에서 말과 기수를 본다' , 제 4 장 '경주를 본다 · 말의 주행을 본다' , 제 5 장 '조교의 의미를 파악하고 말의 움직임을 본다' 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제 1 장에서는 말의 골격도를 제시하여 골격이 체형·자세와 어떻게 연결이 되는가와 말을 평가할 때 주목해야 할 점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저자는 말의 바람직한 특징과 결점이 되는 문제를 바로 볼 수 있도록, 다양한 그림과 사진을 이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서는 경주마를 사는 마주나 번식마를 골라야하는 생산 농가에게 좋은 말을 고를 수 있는 지침이 될 것이다.
 1984년 한국마사회가 직영하는 종마목장이 개설되고,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그때까지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경주마를 국내에서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기 위해 1991년 경주마 자급 확대 중장기 계획이 세워졌다. 이 계획에 따라 1992년 37곳의 경주마 생산 농가가 선정되었다. 현재 한국마사회가 선정한 143농가 중 116농가가 제주 지역 농가이다. 그러나 제주에서는 오랫동안 제주마를 길러온 농가가 주축이 되어 경주마를 기르기 시작했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말을 보는 법을 배운 농가는 드물다. 현재 한국마사회와 경주마 생산자 협회에서 농가 교육을 하고 있지만, 학술적인 내용이 많아 농가가 말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서적은 그다지 많지 않다.
본서는 말을 보는 법에 대해 저자가 오랫동안 길러온 자신의 안목과 과학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그림과 사진을 제시하여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농가와 마주들이 말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Author(s)
이상희
Issued Date
2013
Awarded Date
2013.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153
Alternative Author(s)
李,尙姬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통역대학원
Department
통역대학원 한일과
Advisor
반노신지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1
제 1장 더러브렛의 체형을 본다 5
어떤 근거로 좋은 말이라고 하는가 5
장구단배가 경주마의 이상적인 모습 6
경매시장과 패독에서 말을 보는 관점 8
측면에서 소질보기 ① 전체의 균형 10
측면에서 소질보기 ② 유연한 목과 작은 얼굴 21
측면에서 소질보기 ③ 허리폭과 발달상태 24
측면에서 소질보기 ④ 완만한 유선형의 등 29
측면에서 소질보기 ⑤ 앞다리와 뒷다리의 역할 32
측면에서 소질보기 ⑥얇은 피부 37
측면에서 적성보기 ① 어깨 각도와 거리적성 39
측면에서 적성보기 ② 발목의 형태와 코스 적성 44
앞?뒤에서 보기 ① 앞다리?가슴폭?허리 48
앞?뒤에서 보기 ② 발굽의 형태와 주로 적성 49
앞?뒤에서 보기 ③ 턱?꼬리?얼굴 51
걷는 모습 보기-기질과 성질 53
성질?기질 보기-온순함과 승부 근성 55
참고자료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Citation
이상희. (2013). 경주마 제대로 알기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terpretation & Translation > Korean-Japanes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