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제주지역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tilizing the professional card special effects on reg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live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사용한 수업이 학 생들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연구문제 1.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 과는 어떠한가?

위와 같이 설정한 문제를 연구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J시의 J중학교에 재 학중인 1학년 학생들로서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과 연구 목적을 이 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학생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으며, 2015년 3월 5일부터 2015년 4월 10일까지 주 2회(목, 금요일) 10회기의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자아정체감의 사전, 사후검사는 박아청(2003)의 '자아정체감 검사'를(이 척도는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 5점 척도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주도성의 5개 하위영역에서 각 10 문제씩 총 5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 .93이다), 진로결정효능감의 사전, 사후검사의 측정 도구는 Tayloy와 Betz (1983)가 개발한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의단축형 (CDMSES-SF)을 조아미(2001)가 번안한 것(진로결정효능감 척도는 직업정보, 목표선택, 미래계획, 문제해결의 4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척도는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결정효능감이 높은것이다.)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T-검정을 실시하여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효능감 향상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서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 단에 비하여 자아정체감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 단에 비하여 진로결정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effects of the sub-factors of the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of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identity to be formed for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first-year junior high school in adolescence as seen applied in schools there is.
To this was set to the following hypothesis.

Hypothesis
1.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affect the ego identity.

Hypothesis
2.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affect the career decision-efficacy


J, which is located in J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bove the 7th grade in one class were selected for 15 of 38 patients 19 people in charge of the program in groups career experimental group, the researchers present rather than the half 19 hits 15 people like this in charge of the other teachers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follow-up inspection was carried out, the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was carried out.

Dictionary of ego identity, measuring tools in the post-test was used in this study is the "ego identity check 'of bakahcheong (2003) reconfigured for research purposes. This scale consists of a total of 50 items, Likert 5-point scale, higher scores as high indicates that the ego identity. In the five sub-regions of the initiative consists of a total of 50 questions by each of the 10 issues and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is study (Cronbach's a) is 0.93.
Dictionary of career decision-efficacy, measuring tools in the post-test Tayloy and Betz (1983) joahmi developed a shortened for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DMSES-SF) and (2001) are the researchers that the adapted research the fit was used to reorganize.

Course determine efficacy scale job information, target selection, and is composed of four sub-areas in the future planning, problem solving. This scale consists of a 5-point scale, the higher the score will be higher career decision-efficacy is.
The experimental group since March 5, 2015 to April 03, a total of 10 sessions of 45 minutes a week after twice conducted the program.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utilized information sources Busan Education (School Counseling Institute Korea, 2001),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o refer to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teachers' in each session, for a step-by-step goals.
Data analysis confirmed a crazy effect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of pre and post test counseling and career exploration group conducted a black T- obta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om the self-efficacy improved identity and career decisions. For the data processing program SPSS 18.0 was used.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 house just ego identity i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ipat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compared with career decision-efficacy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t does not participate

This study counseling in groups career exploration program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identity.
Author(s)
윤영식
Issued Date
2015
Awarded Date
2015.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280
Alternative Author(s)
Young, Sik Yoo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5
3. 용어의 정의 6
4. 연구의 제한점 7

Ⅱ. 이론적 배경 8
1. 진로탐색을 위한 집단상담 8
2. 자아정체감 이론 18
3. 진로결정효능감 이론 22
4.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효능감과의 관계 28

Ⅲ. 연구방법 33
1. 연구대상 33
2.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35
3. 연구설계 37
4. 연구도구 38
5. 자료처리 4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1
1. 자아정체감척도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41
2. 진로결정효능감척도의 문항구성과 신뢰도 42
3.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43
4.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46


Ⅴ. 요약 및 결론 50

참고문헌 58

Abstract 65

부록목차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윤영식. (2015). 직업카드를 활용한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제주지역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