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능동적 독서 태도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mproving an active reading attitude
Abstract
독자 중심 독서 교육은 학교 교실에서 학생 중심의 독서 교육의 변화로 이끌
었다. 이에 따라 독자가 책 속에서 스스로 의미를 탐색하고 구성하는 교수·학습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학생 스스로 텍스트에서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
을 위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방안 연구는 텍스트 이해 중심의 인지 과정만을
강조하여 학생의 정서·감정 중심의 반응 형성에 한계를 지니거나, 학생의 정서·
감정에 치우친 나머지 인지 과정에 대한 지도에 한계를 지니는 교수·학습 방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책 속에서 학생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탐색하고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려는 방안으로 학생의 정의적 요인을 상위인지 차원에서 자기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연구하였다.
독서는 독자와 텍스트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한
다. 이러한 독서의 개념은 독자와 텍스트 사이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서 독자의
상위인지를 요구하며,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능동적 창작이라는
개념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독자가 독서를 능동적 의미 만들기의
과정이라는 태도를 지니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는 독서 과정, 독자 반응, 독서
동기를 교수·학습 방안의 이론적 배경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상위인지 활성화의 원리', '동기 강화의 원리'
를 추출하여 능동적 독서 태도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을 '①텍스트 읽어보기, ②의미 부여하기, ③지도
교사의 의미 부여 시범 및 텍스트 내용 상세히 설명, ④의미 부여 절차 지도하
기, ⑤텍스트 다시 읽기 및 의미 부여하기, ⑥의미 변화 확인하기'의 6단계로 구
체화하였다.
체계화된 지도 내용을 실제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문학 텍스트에 적용
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해 봄으로써 교육의 실제에 활용할 가능성을 확인
하여 보았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안은 학교 독서 교육을 통해 학생이 독서를 능
동적으로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이라는 태도를 지닌 독자로의 성장하는 데 도
움을 줄 것이다.
Recently, reading education has shifted to a emphasize student-centered
reading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there is a deman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allow readers to navigate and construct meaning on
their own as they rea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focus on comprehension of text and
emphasize the cognitive process have limitations in helping students to form
emotional and affectively based reactions to texts. Howev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emphasize the emotional reaction of the students have
limitations in helping students develop a map of their cognitive process
while reading.
Therefore, in order to think about how students can actively navigate and
make meaning while reading, this research looks at the self-regulation of
students at the affective level of meta-cognition. Reading is the process of
creating meaningful interac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In this
interac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the reader needs to have
meta-cognitive ability as well as the capacity for active creation in order to
create meaning.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reading process, the reaction of readers, and
motivation for reading were selected for study in order to think about how
to foster in students an attitude of actively making meaning while reading.
From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inciples of stimulating
meta-cognition," and "the principles of strengthening motivation" were
extracted an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models for increasing active
reading attitude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model,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an be broken down into six stages. The six stages are ①
Reading of the text, 'Giving meaning', The teacher's ② ③ demonstration and
detailed explanation of 'giving meaning' within the text, ④Teaching the
process of 'giving meaning', ⑤Read the text again and 'give meaning,' ⑥
Confirm the change of meaning in the text.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se processes in a junior high school
literature class, I was able to see the potential of these teaching and
learning stages. The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elp the reader to
develop an attitude that uses a process to actively create meaning while
reading.
Author(s)
고다희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653
Alternative Author(s)
Ko, Da-hee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송현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방법 9
Ⅱ. 독서 태도와 독서 이론 11
1. 독서 태도와 독서 교육 11
1) 독서 태도 11
2) 독서 교육과정 17
2. 능동적 독서 태도 신장을 위한 독서 이론 21
1) 독서 과정 21
2) 독자 반응 26
3) 독서 동기 32
Ⅲ. 능동적 독서 태도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의 원리 38
1. 상위인지 활성화의 원리 38
1) 의미 부여의 과정 39
2) 자기 조절 지도 45
2. 동기 강화의 원리 48
1) 동기 설계 49
2) 독서 후 활동 52
Ⅳ. 능동적 독서 태도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의 실제 56
1. 교수학습의 적용 56
1) 교수학습 모형 56
2) 단계별 활동 지도 61
3) 교수학습 과정안 70
2. 교수학습의 의의 74
Ⅴ. 결론 75
77
8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다희. (2016). 능동적 독서 태도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