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사회공헌활동 인식과 복지의식과의 관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Welfare Consciousness : Focused on the Financial Companies' Workers in Jeju
Abstract
본 연구는 금융기업 종사자들의 사회공헌활동 인식이 그들의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미래의 사회공헌활동 발전방향을 파악하여 향후 금융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내실화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제주지역에 소재한 금융기업 가운데 금융기업의 제주지역 근무자가 250명 이상인 금융기업 4곳을 선정, 총 232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빈도분석, t-검정, F검정(ANOVA,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공헌활동 인식과 복지의식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복지정책에 대한 견해는 사회공헌활동 참여태도, 만족도, 효과성, 지지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공공복지 확대 지지도는 사회공헌활동 효과성, 지지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복지비용 부담 의향에 대해서는 사회공헌활동 참여기간, 참여태도, 만족도, 지지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금융기업 종사자의 복지의식에 미치는 변수들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복지정책에 대한 견해, 복지비용 부담 의향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지정책에 대한 견해에 미치는 요인으로 일반적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회공헌활동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사회공헌활동의 효과성, 참여태도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복지의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비용 부담 의향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 특성의 자원봉사·기부 참여기간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공헌활동 인식의 사회공헌활동 참여기간, 사회공헌활동 지지도로부터 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공복지 확대 지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일반적 특성 및 사회공헌활동 인식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금융기업 종사자의 복지의식 향상과 관련하여 금융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발전 방향 및 내실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한다.
금융기업 측면에서는 금융기업 종사자들이 자발적 참여 확대를 위하여 새로운 사회공헌활동 문화 조성과 사회공헌활동의 질적 성장에 집중하여야 한다.
금융기업 종사자 측면에서는 종사자 스스로 사회공헌활동에 능동적인 자세로 참여하고자 노력하며 직장 동료들 간에서도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에 대하여 적극적인 지지·격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해관계자 측면에서는 금융기업들은 지역사회·사회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하여 경쟁 기업, 타 기업,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NGO 등과 연계한 협력적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financial companies worker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on their welfare consciousness and discuss the directions for futu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financial companies and thereby, explore some practical ways to ensure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sampled 4 financial companies with 250 or more workers in Jeju. Thus, a total of 232 financial companies workers were sampled to be subject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ANOVA and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subject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their welfare consciousness, it was found that their view of the corporate social welfare poli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ttitude towards the participation i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atisfaction with their participation, effectiveness of their participation and support to their participation, and that their support to an expanded social welfare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and support to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bjects' intention to bear the welfare cos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iod of, attitude towards, satisfaction with and support to participation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econdly,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subjects' welfare consciousness, it was found that their views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tax increase for the burden of welfare were significant. Any demographic variable was not found significant to affect subjects' view of the social welfare policy, but such sub-variables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effectiveness of and attitudes towards particip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ir welfare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subjects' recognition of tax increase for burden of welfare was found to be affected negatively by the period of volunteering and donation, while being affected positively by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period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support to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owever, their support to increased welfare service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ways as follows to help the financial companies workers enhance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 and the financial companies reinforce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for the financial companies, they are urged to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for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its qualitative growth to encourage their workers to participate i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voluntarily. As for financial companies workers, they should endeavor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 co-workers should be induced to positively support and encourage the participants i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Lastly, the financial companies need to be networked with competitor companies, other companies, public organizations,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 NGOs, etc., to solve the community and social problems efficiently.
Author(s)
송양신
Issued Date
2020
Awarded Date
2020.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382
Alternative Author(s)
Song, Yang Sh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사회복지전공
Advisor
김진영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분석틀 3
1) 연구문제 3
2) 분석틀 3

II. 이론적 배경 5
1. 사회공헌활동 5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개념 5
2) 사회공헌활동의 개념 7
3) 사회공헌활동의 목적 10
4) 사회공헌활동의 유형 12
5) 사회공헌활동 인식 14
2. 금융기업과 사회공헌활동과의 관계 15
1) 금융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발전 동향 15
2) 제주지역 주요 금융기업의 사회공헌활동 현황 17
3. 복지의식 20
1) 복지의식의 개념과 중요성 20
2) 복지의식의 차원 21
4. 선행연구 검토 23

III.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7
2. 측정도구 28
3. 자료분석 방법 30

IV. 연구결과 31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1
2.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 분석 33
3.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공헌활동 인식 비교 39
4.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복지의식 비교 47
5.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55
6.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공헌활동 인식이 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57

V. 결론 및 제언 61
1. 연구결과 요약 61
2. 제언 64

참고문헌 68
부록 75
Abstract 8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송양신. (2020). 사회공헌활동 인식과 복지의식과의 관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