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Adjustment to School Life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ul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in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Research Problem 1.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elf-elasticity are significant. Is there a correlation? Research Question 2. Is there a moder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in the influ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4 middle schools including 2 schools in Jeju City and 2 schools in Seogwipo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2, 2021 to April 21, 2021, and 387 out of 400 were collected, and the remaining 352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as the final sampl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18.0.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academic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elf-resilience scales,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 did. In addition,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self-elasticity has a modul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it was adjusted using hierarchical multiple modulated regressio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variable was analyzed.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cademic stress, school life adaptation, and self-resilienc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elf-resilience and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hierarchical multiple contro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moderating effect was reveal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elf-elasticity has a buffering effect on the negativ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school life adaptation, and it means that i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tress have high self-elasticity, problems in adaptation to school life decrease. This suggest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tress can improve school adaptation by increasing their self-resilience rather than directly engaging in academic stress for positive school adaptation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 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모집단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2학교, 서귀포시 2학교를 포함한 총 4개의 중학교를 무선으로 표집한후 2, 3학년을 군집표본추출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3월 22일부터 2021년 4월 21일까지 이루어졌으 며, 400명 중 387명의 자료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35부를 제외 한 나머지 352부의 자료를 최종 표본으로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 율을 산출하고, 각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각 변수 간 상관분석을 실 시하였다. 또한 학업무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위해 단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 탄력성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조절회귀분석을 사용 하여 조절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자아탄력성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 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 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 기 위해 위계적 다중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을 자아탄력성이 완충효과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중학생이 자아탄력성이 높다면 학교생활적응에 문제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 다. 이것은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중학생의 긍정적인 학교적응을 위해 학업스트레 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보다는 자아탄력성을 높여 학교적응을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uthor(s)
김재형
Issued Date
2021
Awarded Date
2021. 8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0351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897
Alternative Author(s)
Kim, Jae H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3. 연구모형 4
Ⅱ. 이론적 배경 1
1. 학업스트레스 5
가. 스트레스 개념 5
나. 스트레스의 원인 7
다. 스트레스의 대처 7
라. 학업스트레스 개념 8
마. 학업스트레스의 증상 10
바. 학업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11
2. 학교생활적응 13
가. 적응의 의미 13
나. 학교생활적응의 의미 16
다.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17
3. 자아탄력성 19
가. 자아탄력성의 의미 19
나. 자아탄력성의 구성 요소 20
다. 자아탄력성의 선행연구 22
라. 청소년기의 특성과 자아탄력성 23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및 절차 27
2. 측정도구 28- iv -
가. 학업스트레스 척도 28
나. 학교생활적응 척도 28
다. 자아탄력성 척도 28
3. 자료처리 및 분석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0
2. 주요 변인의 상관관계 30
3.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31
4.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32
Ⅴ. 논의 및 제언 34
1. 결과 요약 및 논의 34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9
Ⅵ. 참고문헌 40
Abstract 4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재형. (2021).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