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 Social Support on Learning Immer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몰입을 향상시키는 개인 외적 요인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개인의 내적 요인인 자기조절력을 분석하여 중학생 시기에 느끼는 학업스트레스를 해소하고, 학습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도내에 위치한 3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36부가 회수되었고, 이 중 무응답 또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38부를 제외한 4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 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과, 학습몰입 그리고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각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과 학습몰입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조절력의 하위요인과 학습몰입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전체 변인 분석에 있어서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 입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자기조절력을 통해 부분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 하위변인 인지 조절, 정서조절, 행동조절, 동기조절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학교현장에서의 교사와 학생들은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해 사회적 지지 향상을 위한 관계형성에 노력을 하고, 학습몰입 향상을 위해 자기조절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쓸 필요성이 요구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n learning immersion of subvariables of self-regulation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teachers a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n extrinsic factor such as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s on internal factors of students, such as learning immersion and self-regulation abilities. The study aimed to alleviate the academic stress felt during the middle school period and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developing a program to promote learning immersion. For this, we surveyed 560 middle school students in 3 middle schools in Jeju Island, collecting a total of 536 surveys. Of these, 38 had been completed irresponsibly or unfairly, leaving 498 total for analysis. W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the SPSS 18.0 statistics software, performing the following tests: a statist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data;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on learning immersion; and the Sobel test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social support, as perceived by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ubfactors of learning commitment and self-regulation; in other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learning commitmen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and learning immersion.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whole variables, the self-regulation power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learning immer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the teachers' social support directly influenced the learning immersion, and it indirectly influenced it partly through self-regula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he learning immersion, the self-regulation subvariables of cognitive control, emotion control, behavior control, and motive control were partially medi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social support of teacher influences learning immersion by mediating students' self-regulation. Accordingly, teachers and students at school sites should be required to develop strong relationships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to improve social support. Teachers should also develop diverse programs to enhance self-regulation skills to improve learning immersion
Author(s)
김수정
Issued Date
2019
Awarded Date
2019.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09070
https://oak.jejunu.ac.kr/handle/2020.oak/23934
Alternative Author(s)
Kim, Su J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3. 연구 모형 5
4. 용어의 정의 5
1) 교사의 사회적 지지 6
2) 학습몰입 6
3) 자기조절력 6
Ⅱ. 이론적 배경 8
1. 교사의 사회적 지지 8
1) 교사의 사회적 지지 개념 8
2)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10
2. 학습몰입 11
1) 학습몰입의 개념 11
2) 학습몰입의 구성요인 13
3. 자기조절력 14
1) 자기조절력의 개념 14
2) 자기조절력의 구성요인 15
4.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16
1)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입과의 관계 16
2)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17
3) 자기조절력과 학습몰입과의 관계 18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측정도구 21
1) 교사의 사회적 지지 척도 21
2) 학습몰입 척도 22
3) 자기조절력 척도 23
3. 자료 분석 2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5
1.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25
2. 교사의 사회적 지지, 학습몰입, 자기조절력의 상관관계분석 26
3.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28
1) 전체변인 분석 28
2) 하위변인 분석 30
(1) 인지조절변인 분석 30
(2) 정서조절변인 분석 32
(3) 행동조절변인 분석 34
(4) 동기조절변인 분석 36
Ⅴ. 논의, 결론 및 제언 38
1. 논의 38
2. 결론 및 제언 43
참고문헌 45
Abstract 56
부 록(설문지)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수정. (2019). 중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