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용개념의 수양치료적 해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terpretation of ZhōngYōng Concept by Self-Cultivation Therapy
Abstract
이 연구는 『중용(中庸)』을 통해 중용의 개념을 알아보고, 중용을 우리의 일상으로 가져올 수 있는 수양치료적 해석을 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자는 철학적 연구방법인 텍스트 해석학을 활용하였으며, 그중 리쾨르 해석학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중용』의 텍스트 중 서명석(2021a)의 『『중용』 완전정복: 오역 없이 제대로 읽기, 그 새로운 지평을 열다』를 기본으로 삼고, 그 안에서 중용의 개념을 이해하고 수양치료적 해석을 하였다. 오늘날 중용보다는 인욕(人慾)에 빠진 현대인들은 중용(中庸)을 지키지 못하고 그 반대인 반중용(反中庸)의 삶을 살며 인성(人性)이 파괴된 병든 삶을 산다. 심신(心身)이 병든 현대인들에게 자신의 본성을 스스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수양은 자신 안에 내재된 생명력을 키우는 것과도 같으며, 스스로 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양에 대한 관심은 커지고 있다. 수양을 행할 때, 중용을 축으로 하여 수양치료를 할 수 있다면 건강한 본성을 유지하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중용의 수양치료적 해석을 하기 위해 중용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중용이 수양과 어떻게 접속하는지를 찾았다. 그런 다음 중용개념이 지니는 수양 치료적인 의미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중용은 본성의 관점에 서 최적의 알맞음을 찾아 그것을 흔들림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중용』을 독해하는 과정에서 중용이 수양과 만나는 접점을 천인합일과 인의(仁義)로 보았다. 천인합일은 천도와 인도가 만나 하나가 되는 것이다. 천도의 운행방식인 원․형․이․정이 성(誠)이다. 인욕에 빠진 현대인은 천도의 운행방 식처럼 인도의 인․의․예․지의 궤도대로 운행하려면 의도적인 노력인 성지(誠 之)를 필요로 한다. 이때 『중용』에 표현된 사람됨인 인(仁)과 마땅함인 의(義)가 중용개념과 만나 수양치료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열어준다. 연구자는 중용을 기반으로 수양을 행하고 이 수양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게 하 는 것으로 중용개념의 수양치료 개념망을 제시하였다. 이 개념망은 인욕에 빠진 현대인들이 어떻게 하면 스스로 성(誠)을 실현해나가고 중용을 행할 수 있을지를 보여준다. 이는 현대인들에게 본성치료의 세계를 열어 밝힌다.|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ZhōngYōng through “ZhōngYōng (中庸)” and provide a therapeutic interpretation of self-cultivation to apply ZhōngYōng to our daily lives. The researcher adopted Ricoeur’s hermeneutic theory of interpretation among methodologies for textual analysis, which is a philosophical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Complete Mastery of ZhōngYōng: Reading it Right without Mistranslation and Opening a New Horizon, written by Myoung-seok Seo (2021a), as a basis, among the texts on ZhōngYōng, and understood the concept of ZhōngYōng in the book and conducted a therapeutic interpretation of self-cultivation.
Modern people living today are more inclined to follow their instincts rather than ZhōngYōng and live lives that contradict ZhōngYōng, failing to follow ZhōngYōng, and fall ill, destroying human nature in their daily lives. Modern people, whose body and mind are sick, need ways to heal their nature as humans. Self-cultivation is like nurturing the force of life within oneself, and it is garnering more attention in that one can practice it on one’s own. Through performing self-cultivation, one would be able to live while maintaining a healthy human nature if one could practice Self-Cultivation Therapy with ZhōngYōng as a main principle.
In order to interpret ZhōngYōng from a Self-Cultivation Therapy perspectiv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what ZhōngYōng is and how it connects with self-cultivation. The researcher then studied how the concept of ZhōngYōng can be interpreted from a Self-Cultivation Therapy perspective. ZhōngYōng is about finding the optimal fit from a human nature perspective and consistently maintaining it without wavering.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ZhōngYōng,” the researcher saw the point where ZhōngYōng and self-cultivation meet as TiānRènHèYī and Rén Yì (仁義,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TiānRènHèYī is about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s coming together as one. Yuán, Hēng, Lì, and Zhēng (initiating, prospering, benefiting, and persisting), the methods by which the way of heaven is operated, are Chéng (誠). Modern people who are true to their instincts need ChéngZhī (誠之), which is intentional effort to operate the way of humans along the orbit of Rén, Yì, Lǐ, and Zhì (benevolence, righteousness, courtesy, and wisdom), just like how the way of heaven is operated. At this point,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s expressed in “ZhōngYōng” meet the concept of ZhōngYōng and show how to perform Self-Cultivation Therapy.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onceptual network of Self-Cultivation Therapy based on the concept of ZhōngYōng, suggesting self-cultivation based on ZhōngYōng can lead to treatment. This conceptual network shows how modern people, who are true to their instincts, can realize Chéng (誠) and practice ZhōngYōng. This opens up the world of healing human nature for modern people.
Author(s)
이아률
Issued Date
2024
Awarded Date
2024-02
Type
Dissertation
URI
https://dcoll.jejunu.ac.kr/common/orgView/000000011658
Alternative Author(s)
Lee A-Ryul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
Table Of Contents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방법 3
II. 중용의 선이해 5
1. 성-도-교 패러다임 5
2. 중용의 개념 9
III. 중용의 수양 12
1. 성(誠)과 성지(誠之)로 본 천인합일(天人合一) 12
2. 인(仁)과 의(義), 그리고 중용과의 접점 16
IV. 중용의 수양치료적 적용 19
1. 수양치료의 의미망 19
2. 중용개념의 수양치료적 해석 23
V. 결론 29
참고 문헌 31
ABSTRACT 3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이아률. (2024). 중용개념의 수양치료적 해석.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 엠바고2024-02-12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